맨위로가기

조앤 서덜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앤 서덜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소프라노 가수로, 벨칸토 오페라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라 스투펜다'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1959년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공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벨리니의 《노르마》, 로시니의 《세미라미데》 등 다양한 작품에서 주역을 맡았다. 1961년 대영 제국 훈장, 1975년 호주 훈장, 1991년 오더 오브 메리트를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소프라노 가수 - 넬리 멜바
    넬리 멜바는 뛰어난 가창력과 무대 매너로 빅토리아 시대 후기와 20세기 초에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오페라 소프라노 가수이다.
  • 스위스에 거주한 오스트레일리아인 - 존 에클스
    존 에클스는 시냅스 전달 메커니즘 연구로 196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신경생리학자이며, 찰스 셔링턴과 함께 연구하고 《자아와 뇌》를 공동 집필하는 등 철학적 탐구에도 기여했다.
  • 스위스에 거주한 오스트레일리아인 - 토미 유리치
    토미 유리치는 크로아티아 혈통의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서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 소속으로 2014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15년 AFC 아시안컵 우승에 기여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주주의자 - 벤 치플리
    벤 치플리는 1885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나 총리를 역임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경제를 관리하고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은행 국유화 시도는 실패했으나 연방은행 설립 등 통화 정책 통제권을 강화하고 1951년 사망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주주의자 - 스콧 모리슨
    스콧 모리슨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인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총리를 역임했으며, 이민 및 국경 보호부 장관, 사회복지부 장관, 재무장관 등을 거쳐 자유당 당수 경선에서 승리 후 총리에 취임했으나 2022년 총선에서 패배하고, 재임 중 5개 장관직을 비밀리에 겸임했던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
조앤 서덜랜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5년 존 서덜랜드
1975년 서덜랜드
본명존 앨스턴 서덜랜드
직업오페라 소프라노
출생1926년 11월 7일
출생지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사망2010년 10월 10일
사망지스위스 보주 레 아방
배우자리처드 보닝 (1954년 결혼)
자녀1명
학력왕립 음악대학
경력
활동 기간1947년 - 1990년
서훈

2. 생애

조앤 서덜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스코틀랜드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웨이벌리에 있는 세인트 캐서린 스쿨을 다녔으며, 어릴 적부터 메조소프라노였던 어머니의 노래를 들으며 음악적 영향을 받았다. 18세부터 본격적으로 성악 공부를 시작하여 1947년 헨리 퍼셀의 ''디도와 아이네이아스''에서 디도 역으로 시드니에서 콘서트 데뷔를 했다. 1949년 호주의 중요한 성악 콩쿠르인 선 아리아에서 우승했고,[6] 1951년 유진 구센스의 오페라 ''유디트''로 정식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왕립음악대학 오페라 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고, 1952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와 계약하여 ''마술피리''의 첫 번째 여인 역으로 데뷔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빈첸초 벨리니의 ''노르마''에서 클로틸데 역으로 출연했는데, 이때 마리아 칼라스가 노르마 역을 맡았다. 초기에는 키르스텐 플래그스타드를 동경하며 바그너 드라마틱 소프라노를 지향했으나, 1954년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인 리처드 보닝과 결혼한 후 그의 설득으로 벨칸토 레퍼토리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보닝은 그녀의 목소리가 고음과 콜로라투라 기교에 특별한 재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것이 그녀가 세계적인 드라마틱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로 발돋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 1. 벨칸토 소프라노 이전

조앤 서덜랜드는 호주 시드니에서 스코틀랜드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웨이벌리, 뉴사우스웨일스 교외에 있는 세인트 캐서린 학교를 다녔다. 어릴 때부터 메조소프라노였던 어머니의 성악 연습을 듣고 따라 하며 영향을 받았다. 어머니는 성악 레슨을 받았지만 직업 가수는 아니었다. 서덜랜드는 18세에 존과 에이다 디킨스에게 본격적으로 성악을 배우기 시작했다.

1947년 헨리 퍼셀의 오페라 ''디도와 아이네이아스''에서 디도 역을 맡아 시드니에서 콘서트 형식으로 데뷔했다. 1949년 호주의 중요한 성악 콩쿠르인 선 아리아에서 우승한 후,[6] 라디오 3DB가 주최한 모빌 퀘스트에서 1000GBP 상금을 두고 바리톤 로날 잭슨에 이어 3위를 차지했으며,[7] 1년 뒤인 1950년에는 우승했다.[8] 1951년에는 유진 구센스의 오페라 ''유디트''를 통해 정식으로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로열 칼리지 오브 뮤직의 오페라 학교에서 클라이브 캐리에게 사사했다.

1952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 유틸리티 소프라노(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는 소프라노)로 고용되었고, 같은 해 10월 28일 모차르트의 ''마술피리''에서 첫 번째 여인 역으로 코벤트 가든 무대에 데뷔했다. 11월에는 빈센초 벨리니의 오페라 ''노르마''에서 클로틸데 역으로 출연했는데, 이때 마리아 칼라스가 노르마 역을 맡았다.

초기에는 키르스텐 플래그스타드를 존경하며 바그너의 드라마틱 소프라노가 되기를 지향했다. 1952년 12월,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된 ''가면무도회''의 아멜리아 역으로 첫 주연을 맡았다. 이후 ''마탄의 사수''의 아가테, ''피가로의 결혼''의 백작 부인, ''오텔로''의 데스데모나, ''리골레토''의 질다, ''뉘른베르크의 명가수''의 에바, ''마술피리''의 파미나 등 다양한 배역을 소화했다. 1953년에는 벤자민 브리튼의 오페라 ''글로리아나'' 세계 초연 몇 달 후 레이디 리치 역을 맡았고, 1955년 1월 27일에는 마이클 티펫의 오페라 ''한여름 밤의 결혼'' 초연에서 제니퍼 역을 창조했다.

1954년 10월 16일, 서덜랜드는 호주 출신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인 리처드 보닝과 결혼했다. 보닝은 서덜랜드의 목소리가 바그너보다는 벨칸토 레퍼토리에 더 적합하며, 특히 고음과 콜로라투라 기교에 뛰어난 재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그녀가 벨칸토 분야를 탐구하도록 설득했다.

보닝의 조언에 따라 서덜랜드는 점차 벨칸토 레퍼토리로 방향을 전환하기 시작했다. 1957년 헨델 오페라 협회와 함께 헨델의 ''알치나''에 출연했으며, 라디오 방송을 통해 도니체티의 ''리버풀의 에밀리아'' 발췌곡을 불렀다. 1958년에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중 도나 안나 역을 맡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그녀는 이후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될 드라마틱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2. 2. 벨칸토 소프라노로의 전향

서덜랜드는 1954년 10월 16일 호주 출신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인 리처드 보닝과 결혼했다. 보닝은 당시 주류 지휘자들과는 다른 길을 걸으며 벨칸토 오페라 연구와 재현에 힘쓰고 있었다. 그는 서덜랜드의 목소리에서 바그너 ''파흐''가 아닌, 고음과 콜로라투라를 쉽게 소화하는 벨칸토 소프라노로서의 특별한 자질을 발견했다. 보닝은 그녀에게 벨칸토 레퍼토리를 탐구하도록 설득했고, 서덜랜드는 이를 받아들여 남편의 도움 아래 벨칸토 가수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15]

1957년, 서덜랜드는 헨델 오페라 협회와 함께 헨델의 ''알치나''에 출연했으며, 라디오 방송에서는 도니체티의 ''리버풀의 에밀리아'' 발췌곡을 불렀다. 이듬해인 1958년에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돈 조반니''의 돈나 안나 역을 맡았다.

1959년, 서덜랜드는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툴리오 세라핀이 지휘하고 프랑코 제피렐리가 연출한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타이틀 롤을 맡아 경이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마리아 칼라스와는 다른 방식으로, 고음역부터 저음역까지 고르고 힘 있는 아름다운 목소리로 어려운 장식 가창(콜로라투라)을 완벽하게 소화했기 때문이었다. 이 성공으로 그녀는 '넬리 멜바의 재래'라는 찬사를 받으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는 그녀의 대표적인 레퍼토리가 되었다. 에드가르도 역은 동료 호주 출신 케네스 니트가 맡았다.[9]

1960년, 그녀는 더블 LP 앨범 ''프리마 돈나의 예술'' (''The Art of the Prima Donna'')을 녹음했다. 이 앨범은 1962년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클래식 퍼포먼스 – 보컬 솔로이스트 부문을 수상했으며, 2011년에는 호주 국립 영화 및 음향 기록 보관소의 호주의 소리 목록에 등재되었다.[10]

''루치아''에서의 성공은 세계 무대로 이어졌다. 서덜랜드는 1960년 파리 오페라 가르니에, 1961년 밀라노의 라 스칼라와 뉴욕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루치아''를 공연하며 큰 찬사를 받았다. 특히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데뷔 공연 당시, 입석 표를 구하려는 관객들이 아침 7시 30분부터 줄을 섰고, 공연 중 '광란의 장면' 아리아가 끝난 후에는 12분간의 기립 박수가 터져 나왔다.[40] 1960년에는 베네치아라 페니체 극장에서 ''알치나''를 공연했으며, 같은 해 댈러스 오페라에서 ''알치나''를 공연하며 미국 무대에 데뷔했다. 이 시기부터 서덜랜드는 전 세계 언론으로부터 '경이로운 인물'이라는 의미의 "La Stupenda|라 스투펜다ita"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1]

1962년의 서덜랜드

2. 3. 라 스투펜다 (La Stupenda)



1959년 코벤트 가든에서 툴리오 세라핀의 지휘로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타이틀 롤을 맡아 경이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마리아 칼라스와는 달리, 고음역에서 저음역까지 힘차고 고른 아름다운 목소리로 어려운 콜로라투라 기교를 가볍게 소화했기 때문이다.[9] 이 성공을 계기로 1960년 파리, 1961년 라 스칼라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도 루치아 역으로 큰 찬사를 받았다. 특히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데뷔 공연(1961년 11월 26일)에서는 그녀의 광란의 장면 아리아 이후 12분간의 기립 박수가 터져 나왔다.[40] 1960년 라 페니체에서 헨델의 《알치나》를 부른 뒤, 그녀는 곧 전 세계 언론으로부터 '''라 스투펜다'''(La Stupendait, "경이로운 여성")라는 별명으로 칭송받게 되었다.[1]

이러한 성공에는 남편이자 지휘자인 리처드 보닝의 역할이 컸다. 보닝은 서덜랜드의 벨칸토 소프라노로서의 자질을 일찍이 간파하고 그녀가 벨칸토 가수로 전향하도록 설득했으며, 두 사람은 결혼 후(1954년) 함께 벨칸토 레퍼토리 연구와 부활에 힘썼다. 《루치아》의 성공은 이들에게 벨칸토 오페라 부활에 대한 확신을 주었다.

1960년대 동안 서덜랜드는 주요 벨칸토 배역들을 레퍼토리에 추가하며 벨칸토 부흥을 이끌었다. 벨리니의 《몽유병자》(1960), 《청교도》(1960), 《베아트리체 디 텐다》(1961), 《노르마》(1963)를 비롯하여 로시니의 《세미라미데》(1962), 도니체티의 《연대의 딸》(1966)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1962년 《세미라미데》 부활 공연에 성공했으며, 이후 메조소프라노 마릴린 혼과의 협연을 통해 이 작품을 주요 레퍼토리에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절정기에 그녀는 3점 E음에 이르는 넓은 음역과 흔들림 없는 강인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벨리니의 《청교도》, 《몽유병자》 등의 부활 공연을 잇따라 성공시켰다.

1965년에는 서덜랜드-윌리엄슨 오페라 컴퍼니와 함께 호주 순회공연을 진행했으며, 이때 젊은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동행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종종 지적받았던 발음 문제를 개선하고[5] 해석의 표현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그녀의 발음은 완벽한 레가토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다소 불분명해졌다는 비판이 있었으나,[14] 남편 보닝은 이를 그녀가 이전의 게르만적인 비(非)레가토 창법에서 벗어나 완벽한 레가토를 성취하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15] 이 시기에는 도니체티의 《마리아 스투아르다》, 《루크레치아 보르자》, 그리고 마스네의 《에스클라몬드》와 같이 더욱 극적인 벨칸토 역할을 레퍼토리에 추가하며 음악적 영역을 넓혔다. 그녀 자신도 《에스클라몬드》를 자신의 가장 큰 성취이자 최고의 녹음으로 꼽았다.[24]

2. 4. 은퇴와 죽음

1970년대 후반부터 서덜랜드의 화려한 가창 기술과 성량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기력을 더욱 갈고 닦았으며, 1980년대까지도 고음(내림 라(D♭))를 무리 없이 소화했다. 서덜랜드는 1992년에 공식적으로 오페라 은퇴를 발표했다.[16] 그녀의 마지막 정식 오페라 공연은 1990년 63세의 나이로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한 마이어베어의 《위그노》에서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역이었다. 이 공연 후 앙코르로 'Home! Sweet Home!'을 불렀다.[16] 그녀의 마지막 공개 무대는 같은 해 12월 31일 새해 전야, 런던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열린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박쥐》 갈라 공연이었다. 이 무대에는 동료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메조소프라노 마릴린 혼이 함께 했으며, 남편 리처드 보닝이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공연 후 그녀는 공적을 기리는 연설과 기념품을 받으며 은퇴 인사를 했다.

은퇴 후 서덜랜드는 스위스 몽트뢰 근처 레자방(Les Avants)의 자택에서 조용한 삶을 보냈다. 2008년 정원에서 넘어져 두 다리가 골절되는 사고를 당한 후 건강이 악화되어 요양 생활을 하게 되었으나,[58][59] 병상에서도 후진 양성에 힘썼다.[60] 2009년에는 골절에서 회복하여 엘리자베스 여왕이 주최한 훈장 수훈자 초청 행사에 참석하기도 했다.

2010년 10월 10일, 서덜랜드는 스위스 레자방 자택에서 심폐 부전으로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7][28][29] 그녀의 가족은 성명을 통해 "그녀는 긴 삶을 살았고 많은 사람들에게 큰 기쁨을 주었다"고 발표했으며, "심장이 멈췄고...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자 더 이상 살고 싶어하지 않았다. 그녀는 가고 싶어했고, 기꺼이 가고 싶어했으며, 결국 매우 평화롭게 죽었다"고 덧붙였다.[27] 그녀는 생전에 작고 개인적인 장례식을 원했으며,[27] 장례식은 10월 14일에 거행되었다.[30]

오페라 오스트레일리아의 예술 감독 린든 테라치니는 "우리는 그녀와 같은 사람을 다시는 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녀는 경이로운 음역, 크기, 음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라며 애도했다.[30]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였던 줄리아 길라드는 서덜랜드를 "20세기의 위대한 오페라 목소리 중 한 명"이라 칭하며, 그녀가 소탈함과 같은 "전형적인 호주적 가치"를 보여주었다고 추모했다.[33] 오페라 오스트레일리아 주관으로 2010년 11월 9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추모식이 열렸으며,[34] 2011년 2월 15일에는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35] 같은 해 5월 24일에는 뉴욕에서도 추모식이 거행되었다.

레만 호수를 배경으로 스위스 보 주의 클라렌스 묘지에 있는 서덜랜드의 묘(오른쪽)와 그녀의 흉상. 왼쪽은 그녀의 남편 리처드 보닝이 묻힐 자리이다.


서덜랜드는 스위스 보 주의 클라렌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녀의 묘 옆에는 남편 리처드 보닝을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3. 평가

조앤 서덜랜드는 남편이자 지휘자인 리처드 보닝의 영향으로 벨칸토 가수로 전향한 이후, 벨칸토 오페라 부활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보닝은 서덜랜드의 목소리에서 드라마틱 소프라노를 넘어선 벨칸토 소프라노로서의 특별한 자질을 발견하고 그녀가 벨칸토 가수의 길을 걷도록 이끌었다.

1959년 런던 코벤트 가든에서 툴리오 세라핀의 지휘로 공연된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타이틀 롤은 그녀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서덜랜드는 이 공연에서 고음역부터 저음역까지 고르고 힘 있는 아름다운 목소리로 매우 어려운 장식 가창(콜로라투라) 기교를 수월하게 선보여 경이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 성공으로 그녀는 과거 호주의 전설적인 소프라노 넬리 멜바에 비견되어 "넬리 멜바의 재래"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후 1961년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밀라노 스칼라좌에서도 같은 역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벨칸토 오페라 부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었다.

『루치아』에서의 성공 이후, 서덜랜드는 남편 보닝과 함께 당시 오페라 극장의 표준 레퍼토리에서 소외되었던 벨칸토 오페라 작품들을 발굴하고 부활시키는 데 헌신했다. 대표적으로 1962년 로시니의 『세미라미데』를 줄리에타 시미오나토와 함께 성공적으로 부활시켰으며, 1969년에는 메조소프라노 마릴린 혼과의 협연을 통해 이 작품을 주요 레퍼토리에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했다.

절정기에 서덜랜드는 3점 E음에 이르는 넓은 음역과 안정되고 강인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뛰어난 기교를 선보였다. 그녀는 마릴린 혼, 리처드 보닝과 함께 벨리니의 『청교도』, 『몽유병자』 등 잊혀졌던 벨칸토 오페라들을 연이어 성공적으로 무대에 올렸다. 이러한 눈부신 업적과 경이로운 목소리로 인해 이탈리아에서는 그녀를 La Stupenda|라 스투펜다ita("경이로운 여성")라고 부르며 칭송했다. 또한 그녀는 "하이 C의 제왕"으로 유명한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를 발굴하여 그의 초기 경력에 도움을 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3.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대한민국을 비롯한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조앤 서덜랜드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특히 일본에서는 벨칸토 오페라 부활에 대한 그녀의 큰 공헌에도 불구하고 평가가 박한 편이었다. 1975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일본 공연에서 라 트라비아타의 비올레타 역을 맡아 처음 일본 무대에 섰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일본 오페라 평론가들은 음반이나 해외 공연을 통해 접한 1960년대 그녀의 연주에 대해 '백치미'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첫 방일 공연을 접한 일본 오페라 평론가들은 그녀의 목소리가 전성기에 비해 쇠퇴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비판했는데, 이러한 비판이 온당한가에 대해서는 다른 시각도 존재한다. 실제로 서덜랜드는 전성기였던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발성의 아름다움이나 기교를 중시한 나머지, 가사 전달의 명확성(아티큘레이션)을 다소 희생했다는 지적을 일본 외에서도 종종 받았다[61]. 이것이 "이탈리아어나 프랑스어 가사가 잘 들리지 않는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는데, 이러한 단점이 개선된 것은 오히려 가수로서 쇠퇴기에 접어든 후였다. 일본에서의 비판은 이러한 배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만약 일본에서 서덜랜드에 대한 평가가 더 높았다면, 일본 내 벨칸토 오페라의 발전이 더 빨랐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4. 주요 역할

서덜랜드는 초기에 바그너 드라마틱 소프라노를 지향했으나, 남편이자 지휘자인 리처드 보닝의 조언에 따라 벨칸토 레퍼토리에 집중하게 되었다.[15] 그녀는 뛰어난 고음과 콜로라투라 기교를 바탕으로 잊혀가던 벨칸토 작품들을 부활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59년 런던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툴리오 세라핀이 지휘하고 프랑코 제피렐리가 연출한 도니체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 루치아 역을 맡아 압도적인 성공을 거두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9] 이 공연은 그녀의 경력에 있어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서덜랜드는 남편 보닝과 함께 다양한 벨칸토 오페라의 주요 역할을 맡으며 레퍼토리를 넓혀갔다. 그녀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벨리니:
  • 노르마》 (노르마) - 초기에는 클로틸데 역을 맡았으나[11], 이후 타이틀 롤을 소화했다.
  • 《청교도》 (엘비라)
  • 《몽유병자》 (아미나)
  • 《베아트리체 디 텐다》 (베아트리체)

  • 로시니:
  • 《세미라미데》 (세미라미데) - 1962년 라 스칼라에서 줄리에타 시미오나토와 함께 부활 공연을 성공시켰으며, 이후 마릴린 혼과의 협연으로 레퍼토리에 정착시켰다.

  • 마스네:
  • 《에스클라몽드》 (에스클라몽드) - 서덜랜드 자신이 가장 중요한 업적으로 여긴 역할이다.[24]


이 외에도 마이어베어의 《위그노》(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칠레아의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아드리아나) 등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다. 그녀는 루치아노 파바로티, 마릴린 혼 등 당대 최고의 성악가들과 협력하며 벨칸토 오페라 부흥을 이끌었고, 이탈리아에서는 그녀의 경이로운 목소리와 기교에 찬사를 보내며 '라 스투펜다'(La Stupenda)라는 별명을 붙였다.[1]

5. 서훈

wikitext

연도훈장등급/비고
1961년대영 제국 훈장사령관(CBE)[44]
1975년오스트레일리아 훈장동반자(AC)[47]
1979년대영 제국 훈장여성 기사 지휘관(DBE, 작위급 훈장)[48]
1991년공로 훈장OM[49]


6. 기타


  • 영국 왕실의 열렬한 지지자로, 대영 제국 훈장(DBE)과 공로 훈장(OM) 등 왕실로부터 칭호를 받았다. 1994년에는 "나는 40년이나 여권을 가지고 있는데, 중국인인지 인도인인지 하는 관리에게 여권 갱신 면접을 받은 건 웃겼어"와 같은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하여 물의를 일으켰다. 이후 "공식적인 자리에서 할 발언은 아니었다"라며 자리에 맞지 않았던 점에 대해 사과했다.[61][62]
  • 신장은 5피트 9인치(약 180cm)이다.[61]
  • 취미는 정원 가꾸기이다.[61]
  • 남편 리처드 보닝과의 사이에 아들 한 명이 있다.[61]

참조

[1] 웹사이트 Remembering 'La Stupenda' https://www.npr.org/[...] 2010-10-11
[2] 웹사이트 Australian soprano Dame Joan Sutherland dies http://news.brisbane[...] 2010-10-12
[3] 웹사이트 Icons of Opera – Dame Joan Sutherland http://opera-britann[...] 2009-07-06
[4]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Macmillan
[5] 서적 The Rough Guide to Opera Rough Guides
[6] 뉴스 Young soprano triumphs http://nla.gov.au/nl[...] The West Australian 1949-10-04
[7] 뉴스 A baritone who was 'showbiz' through and through https://www.smh.com.[...] 2002-05-31
[8] 뉴스 Mobilquest Won by Soprano http://nla.gov.au/nl[...] 1950-09-07
[9] 웹사이트 Vale – Ken Neate http://www.operafolk[...]
[10] 웹사이트 The Art of the Prima Donna by Dame Joan Sutherland https://www.nfsa.gov[...]
[11] 웹사이트 Performers' Report http://archives.meto[...]
[12] 웹사이트 Met Gala Concert http://archives.meto[...] 1989-03-12
[13] 웹사이트 Music View; The mystery of casting at the Met https://www.nytimes.[...] 1986-02-16
[14] 서적 Joan Sutherland Collins
[15] Youtube Joan Sutherland talks about high notes—part 2
[16] 간행물 Australia World Book, Inc.
[17] 뉴스 Dame Joan Sutherland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5-03-27
[18] 웹사이트 Background Paper 9 1995–96: The Recent Republic Debate—A Chronology http://www.aph.gov.a[...] Australian Parliamentary Library
[19] 뉴스 Dame Joan Sutherland breaks both legs in fall https://www.abc.net.[...] 2008-07-04
[20] 웹사이트 Dad and Dave: On Our Selection https://www.imdb.com[...]
[21] 뉴스 One Long Flat Note The Sydney Morning Herald 1997-12-20
[22] 웹사이트 Review of A Prima Donna's Progress https://www.amazon.c[...] Library Journal
[23] 웹사이트 John Major http://www.number10.[...] British Prime Minister's Office
[24] 뉴스 I didn't want to be a div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2-05-08
[25] 뉴스 Big Luciano, un video per la Stupenda Joan https://archive.toda[...] La Stampa 2007-05-23
[26] 웹사이트 BBC Cardiff Singer of the World 2005 http://www.bbc.co.uk[...]
[27] 뉴스 Opera star Dame Joan Sutherland dies aged 83 https://www.bbc.co.u[...] BBC News Online 2010-10-11
[28] 뉴스 Family: Soprano Joan Sutherland has died, age 83 https://www.google.c[...] 2010-10-11
[29] 웹사이트 My last days with opera's grandest dame Joan Sutherland http://www.theaustra[...] 2011-02-01
[30] 뉴스 Voice of the century, Dame Joan Sutherland, dies aged 83 http://www.heraldsun[...] The Herald and Weekly Times 2010-10-12
[31] 뉴스 Opera great Joan Sutherland dies aged 83 https://www.reuters.[...] Reuters 2010-10-11
[32] 뉴스 Joan Sutherland, 'voice of the century,' dies https://news.yahoo.c[...] 2010-10-11
[33] 뉴스 Joan Sutherland dies at 83 http://www.australia[...]
[34] 뉴스 A Fitting Finale for La Stupenda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0-11-10
[35] 웹사이트 A Service of Thanksgiving for the late Dame Joan Sutherland http://www.westminst[...]
[36] 뉴스 "Joan Sutherland: My Starter Diva" http://www.operatoda[...] Opera Today 2010-10-13
[37] 웹사이트 Dame Joan Sutherland, soprano – portrait (1926–2010) http://www.classique[...]
[38] 웹사이트 Joan Sutherland, une diva s'en va http://next.liberati[...] 2010-10-13
[39] 간행물 Music: Sutherland: A Separate Greatness http://www.time.com/[...] 1971-11-22
[40] 뉴스 Joan Sutherland, Flawless Soprano, Is Dead at 83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10-11
[41] 뉴스 Joan Sutherland dies at 83; ranked among the most powerful divas of the 20th century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0-10-12
[42] Youtube Natalie Dessay talks about Joan Sutherland and Maria Callas 2011-04-25
[43] Youtube Joan Sutherland talks about high notes 2011-02-19
[44] 웹사이트 It's an Honour – Honours – Search Australian Honours https://honours.pmc.[...]
[45] 서적 Australians of the Year Pier 9 Press
[46] 문서 SAI History http://people.uwplat[...] Sigma Alpha Iota – Theta Iota chapter
[47] 웹사이트 It's an Honour – Honours – Search Australian Honours https://honours.pmc.[...]
[48] 웹사이트 It's an Honour – Honours – Search Australian Honours https://honours.pmc.[...]
[49] 웹사이트 It's an Honour – Honours – Search Australian Honours https://honours.pmc.[...]
[50] 웹사이트 History http://www.taitmemor[...] 2016-10-21
[51] 문서 "Sir Frank Tait 1883–1965" http://www.liveperfo[...] Live Performance Australia – Hall of Fame
[52] 문서 "The Passing of Opera Legend Dame Joan Sutherland" http://www.jspac.com[...] The Joan Sutherland Performing Arts Centre 2010-10-12
[53] 뉴스 Echo Klassik 2001 im Baden-Badener Festspielhaus https://www.pressepo[...] Südwestrundfunk 2021-01-29
[54] 뉴스 "Jessica Pratt vince la XV edizione del premio Pagliughi" http://www.comune.ce[...] Comune di Cesena 2013-05-02
[55] 웹사이트 Dame Joan Sutherland (soprano) http://www.gramophon[...] Gramophone 2012-04-11
[56] 웹사이트 Australian Women in Music Awards shine a light on women in the Australian music industry https://www.abc.net.[...] 2024-10-04
[57] 문서 This list is taken from the complete list of Sutherland's performances up to and including 18 December 1986 on pp. 204–241 of Norma Major's book ''Joan Sutherland'', published 1987
[58] 문서 http://www.nytimes.c[...]
[59] 문서 ジョーン・サザーランドさん死去 ソプラノ歌手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0-10-10
[60] 문서 世紀の歌声 オペラ歌手ジョーン・サザーランドさん死去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0-10-10
[61] 문서 Joan Sutherland, Flawless Soprano, Is Dead at 83 New York Times http://www.nytimes.c[...]
[62] 뉴스 Dame Joan Sutherland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12-21
[63] 문서 성악가 - 소프라노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